10회 초기불교의 인간관-행온/식온
오온은 나는 누구인가의 결론.
나; 개념적으로는 내가 있어 보이나 해체- 무아(오온,12처,18계,(무아)12연기)
반야심경=(무아)
행; 심리현상들(복수=sankhaka) 의도적행위(업) 하나 만은 아님.
나의 존재-정신;식,수,상,행(수,상을 제외한 여러가지 심리현상들) : 아비담마 52가지(50가지),
북방46(44가지) 유식51(49가지)
* 불교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용어: 담마,상카라(행)
① 오온의 행은 심리현상들(초기경): 諸行 (무상)의행=모든 유위법(인연에
의해 생멸하는 만유일체의 법-열반을 제외한)
諸法(유위법과 무위법포함-열반까지 포함)
②오온의 네번째 행온 ; 심리형상들(수,상제외)
③12연기의 두번째 구성요소인 무명연행(無明緣行); 의도적 행위(의도가
개입),업지음
이외에 신,구,의 -삼행(의도적=업, 단순히 작용을 뜻)
식; 심의식(心, 意, 識 =동의어로서 마음)= 대상을 아는 것
일체유심조의 잘못된 해석=여원하고 절대적으로 표현됨,마음을 절대화시키면 오류-외도
대념처경:절대적 가치를 지닌 바른 마음챙김으로 대상을 관찰하는 것을 가르치는 경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