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묵-번역과 발제의 배경 1
1.번역과 발제의 배경
1. 초기불교의 핵심사상(금강경-무아사상))
6-7년 전에 우연히 금강경의 키워드인 相이 니밋따(nimitta, 외관, 영상)의 번역어가 아니라 산냐(sa~n~naa, 인식, 개념, 명칭)의 번역어임을 알고 충격을 받았다. 왜냐하면 산냐는 최초기 부처님 말씀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것으로 모든 학자들이 동의하는 숫따니빠따 4장의 키워드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산냐와 딧티(견해)에 붙들려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주장을 늘어놓고 논쟁을 하며 깨달은 자는 이런 산냐와 딧티에 초연하기 때문에 세상의 어떤 것에도 물들지 않는 다는 것이 4장의 구핫타까 숫따(2번째경)나 청정경(4번째경)이나 마간디야 경(9번째)나 쭐라위유하 경(12번째)의 핵심이다. 이렇게 산냐를 극복하라(sa~n~nānam uparodhanā, Sn. 737)는 숫따니빠따의 말씀과 일맥상통하는 것이 금강경이다. 발제자는 상이 산냐의 역어라는 이 한가지 사실때문에 조계종의 소의 경전인 금강경이 초기불교의 핵심사상을 분명하게 계승하고 있음을 직관할 수 있었고 큰 환희심이 생겼다. 그래서 금강경이야말로 최초기 부처님 가르침을 그대로 계승하는 경이라서 이런 측면을 밝히고 싶어서 번역과 주해를 시도했고 금강경 결제에 발제자로 동참하게 되었다. 상(산냐)을 금강경에서는 아/인/중생/수자로 정형화해서 들고 있다. 인간들 특히 수행자들이 가질 수 있는 대표적인 관념, 즉 산냐가 바로 자아, 중생, 개아, 영혼이라는 네 가지이다.(4상과 9상에 대해서는 제2일에 중점적으로 논의할 것이다) 이런 산냐를 세우게 되면 그 실재하는 것과 합일하거나 그것의 은총으로 행복을 누리려는 구도(構圖)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이런 고정관념을 타파하지 못하는 한 참다운 해탈이란 있을 수 없다. 무엇이 실재한다는 것은 단지 산냐일 뿐임을 지혜롭게 관찰해야 한다.(금강경 역해 14-3의 주해) 그래서 불교는 무아를 거듭강조하며 금강경에서도 若菩薩 通達無我法者 如來 說名眞是菩薩(17-7장)이라고 통쾌하게 결론짓고 있다. 산냐의 척파와 무아는 같은 말이다.(금강경이 空이라는 술어를 사용하지 않고 초기불교의 無我를 강조하여 천명한다는 것만으로도 금강경이 반야부 경들 가운데서도 최초기에 결집된 경이라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일체 산냐를 멀리 여의었기에 불세존들이시다(離一切相 卽名諸佛, 구마라즙 역/ 諸佛世尊 離一切想, 현장 역, 14-3장)라고 결론짓고 있다.
그래서 금강경에서 고정불변의 지리로 정해져 있다는 산냐를 거듭척파하고 있다. 즉 17-2에서 제법무아의 불교의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가르침을 제기하면서 여기에 확신을 가져야 그를 일러 보살마하살이라 한다고 역설하면서 금강경은 그 절정에 이르고 있다.
그런데 우리의 현실은 어떠한가? 한국불교를 돌아보자. 무아의 참된 의미를 두고 고뇌하거나 사유하는 자는 정말 드물다 할 것이다. 부처님께서 설하신 참선이아 수행에 대해서는 고뇌하는 흔적은 보이지 않고 우빠니샤드의 아류적인 곳에 빠져 자성불(自性不),참나,견성,자성청정심(自性淸淨心),내 부처 등을 설하고 그것을 체득하기 위해 몰입하면서 아뜨만을 거듭 찬양하는 실정이다. “무아라 해서 아무것도 없는 것을 설하시는 것은 아니다.”라고 하면서 아뜨만을 역설하는 전도사로 변해버렸다. 부처님은 왜 무소유처와 비비상처로 대표되는 인도사상과 인도수행에서 최고의 경지라 자부하던 것을 아직 구경의 경지가 아니라 하여 버리고 당신의 수행을 스스로 해나가셨던가에 대해서 불자라면 한 번쯤은 고뇌하고 서로 탁마해봐야 하지 않겠는가?
2, 한국불교의 수행 점검
다시 참선수행을 되돌아보자. 대부분의 수행자들이 우빠니샤드의 아류적인 발상으로 참선을 하고 불교를 설하고 있지 않은가? 마음,마음, 그마음을 아트만적인 견해로 받아들여 가르치고 있지 않은가. 우빠니샤드의 아류적인 발상으로 생사를 초월한 영원한 생명자리인 자아가 있나니 그것을 찾기 위해 생명을 걸자고 힘으로 몰아 붙이고 있지 않은가? 화두를 힘으로 밀어붙여 화두가 폭발하는 것처럼 어느 순간에 펑하고 터지면 그 즉시에 도인이 되고 부처가 되어 만중생의 존경과 귀의와 찬탄과 예경을 받게 되는 것으로 돈오돈수를 생각하고 있지나 않은가?
한국불교의 수행에는 이러한 허망하기 짝이 없는 힘의 논리가 너무 강하게 자리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그 어떤 존재론적인 무엇을 상정하여 그것을 추구하고 그것과 하나되려고 몰입하면 아무래도 힘으로 밀어 붙이게 되고 점점 극단적인 신비주의로 빠져 들게 되니 바른 수행은 아니라 할 것이다. 무엇보다 그렇게 힘으로 밀어 붙이는게 업이 되면 매사가 그런 힘을 쓸려는 강력한 의도에 지배되어 정념정지(正念正知) 즉 살피는 기능이 개발되지 못해서 경계에 속게 될 것이다. 아니 건전한 상식이나 경우를 무시하고 세상사 모두를 힘으로 밀어 붙여 해결하려 들게 될 것이다. 이런 배경 때문에 조계종의 여러 문제는 생겨나는 것이 아닌가 발제자는 반성해 본다
그런데 설사 힘으로 밀어붙여 그것과 하나가 되었다고 위대한 선포를 하더라도 기실 그것은 그것과 하나 되었다는 산냐에 지나지 않는다고 금강경은 설하고 있지 않은가? 그러니 어떤 영원한 무엇이 있다. 불변의 실체가 있다는 견해가 얼마나 두려운 것인가 알아야 하겠다. 그래서 본 경은 거듭해서 그런 것이 없다고 제법무아를 역설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 요즘 몇 몇 불자들이 얼토당토않게 ‘이 뭣꼬’를 ‘꼬아함’(ko aham) 주1) 의 아류쯤으로 이해하려 드는데 이러고서도 한국불교를 선(禪)의 정통 운운하면서 세계불교에 내세울 수 있을까? 우리는 선종의 소의경전인 이 금강경으로써 화두라는 산냐, 선종이라는 산냐, 마음 깨쳐 성불한다는 산냐 등 일체의 공부에 대한 산냐를 한번쯤 점검해봐야 하지는 않을까. 그렇다고 발제자의 말을 화두 참구하지 말라, 참선하지 말라고 받아들이는 자가 있다면 참 슬픈 일이라 아니 할 수 없다.
그리고 금강경을 수지독송하는 신도들은 어떠한가. 축자영감설의 신봉자들이 산냐 문제는 추호도 생각해보지도 않고 독송하는 공덕에만 잔뜩 탐욕을 부려 몇 백 독(讀), 몇 천 독, 몇 만 독 하면 병이 낫고 영가가 눈에 보이고 천도가 되고 운운해가면서 금강경을 망쳐놓고 있지 않은가. 향상의 길을 가기 위해서 백천만억겁 동안 백천만억의 수없이 많은 몸을 다 버려도 아깝지 않다고 금강경에서 그렇게 강조하고 있는 이 몸뚱이를 낫게 하기 위해서 아니 독송하면 낫게 해준다니 죽어라 하고 독송만 해대고 그래서 몇 천 독을 했다, 몇 만 독을 했다, 영가가 눈에 보인다. 등.등의 가당찮은 경계, 그런 산냐에 빠져서 허우적대니 참으로 세존께서 통탄하실 일이다. 이렇게 말한다 해서 금강경 독송을 하지 말라는 말로 받아들인다면 그런 분은 발제자의 말에 귀기울일 필요가 없다.(15-1, 5번 주해)
이처럼 승속을 막론하고 서릿발보다 냉엄하고 벼락보다 더 날카로운 벼락경/금강경을 매일 독송하고 무아상을 거듭 거듭 이야기하면서 우리는 모두 아상 저 아뜨마산냐의 노예가 되어가고 있지는 않은가 반성해봐야 할 것이다. (3장의 15번 주해)
발제자는 이런 배경에서 금강경에서 부처님께서 고구정녕히 설하시고자 한 산냐의 척파라는 근본을 되새겨 바른 수행에 대해서 사유하고 고뇌해보고자 금강경의 번역과 주해를 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방법으로 산스끄리뜨 원문과 의역위주인 구마라즙본과 직역인 현장본을 철저하게 대역하였다. 그러면 한문에 익숙한 분들이 금강경의 원의미를 파악하기가 수월하기 때문이다. 주1) '나는(aham) 누구인가(kah*)’로 번역되는 산스끄리뜨로 베단따 본류를 자처하는 상까라(Sankara)파의 힌두 수행자들이 참구하는 명상 주제임. 이들은 이 ‘나’를 영원한 자아(아뜨만)라 하여 이 아뜨만에 몰입하는 것으로 수행을 삼으니 화두참구를 이런 수준으로 파악한다면 참으로 문제가 많다고 하겠다. 그리고 요즘 몇 몇 인도 사두들은 숨을 들이쉬면서 ‘꼬(ko)’하고 내쉬면서 ‘[아]함(aham)’하라고 지도를 한다니 참 화두와는 십만 팔천리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