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란 무엇인가요/초기불교의 교학과 수행

제12강 괴로움의 발생구조와 소멸구조 12연기를 중심으로(2)

자수향 2009. 2. 2. 11:18

12연기의  순관:  노사(괴로움의 발생구조)

              역관:  환멸문(괴로움의 소멸구조)

12연기는 윤회의 발생,소멸구조라 할 수 있다.

삼세양중인과(12연기를 삼세에 걸친 인과)= 초기경,남,북방 불교,유식(이세일중인과-현재,미래,현장스님은 동의어로 봄)

 

<구성요소(상윳다-2)>

 

무명: 사성제에 대한 무지(부처님말씀), 정견과 반대됨,생사윤회를 거듭(무명에 휩싸여 윤회 거듭)

        법구경-오도송:갈애로 인해 윤회를 강조

 행  : 의도적 행위,업의 형성,신,구,의(삼업)

 식  : 한 생의 최초의 마음,알음알이

명색: 정신 (수,상,행,식),을 제외함  심소법(마음과 상응하여 일어나는 마음의 여러가지 정신작용-아비달마 구도)

        유식-변행심소(邊行心所;어떤 심식이 대상을 인식하려 할 때 반드시 일어나는 정신직용 觸,作意,受,想,思)

                            색; 근본물질(지수화풍), 파생물질(눈,귀, 맛, 냄새...)

육입: 육내처(육근-여섯가지 감각기관,눈,귀,코,혀,몸,마음)

촉   : 감각, 삼사화합(감각기능과 대상,알음알이의 셋이 만나는 것)  느낌 + 촉= 갈애

        느낌의 세가지(갈구,혐오,무지)

취   :  취착=1.감각적 욕망에 대한 취착 ,2.사견에 대한 취착 3.계율과 의식에 대한 취착 4,자아가 있다는 취착

          갈애(渴愛)가 더 강화된 것

유   :  업유; 선하거나 악한 의도적 행위 ,행 =유 , 북방구사론-전유(행),후유(후의 의도적행)

         생유; 욕계,색계,무색계에서 받는 과보인 새로운 생,업에의헤 고착화된 특성

노사

 

구사론(5세기 무렵 세친스님이 저술한 경전):

삼세양중인과,  분위연기(分位緣起, 12支가 과거,현재,미래의 생에 걸쳐 無間에 오온이 상속한다는 견해)

12연기가 심소법에의해 일어남, 12연기는 오온의 흐름,오온이 전부 일어남

  1) 찰나연기; 12지가 찰나에 함께 작용 ,다만 생,노사에서는 무리함

  2) 연박연기; 12찰나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상속한다는 견해 생,노사에서는 무리함

  3) 원속연기;  여러 생을 걸쳐서 시간을 뛰어서 12지가 상속한다는 견해

  4) 분위연기를 정설로 봄

상좌부(스리랑카,미얀마,타이,캄보디아,라오스등지에 퍼져 있는 불교의 중요 형태):분위연기의 입장 즉 오온에 의함

결론: 남,북방 아비달마에서 12연기를 삼세양중인과로 봄. 12연기는 무상,고,무아---염오 이욕 소멸---열반실현

소멸의 정형구; 빛 바래어 소멸함(염오)

12연기는 무아를 드러내는 강력한 수단==연기의 가르침은 자아,진아,대아니 주인공이니 하는 존재론적인 실체를 상정하고

                                                       그것과 하나 되는 것쯤으로 깨달음을 착각하지 말라고 단언

                                                       존재론적인 실체는 어느 시대,어느 불교에도 결코 발붙일 틈이 없다.

12연기를 법계연기(현상세계 그대로가 진실의 세계 즉 진여라고 보는 견해) 함께 이해하는 것은 무리:

                         -제법의 상호관계 24가지(상좌부)1 2연기와 동일시 하면 안됨

                          구사론(6인4연 5과  )유식(10인4연 5과 ) 법계연기,우주적 연기와 구분 해석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