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란 무엇인가요/초기불교의 교학과 수행

제13강 초기불교의 수행 - 네 가지 마음 챙기는 공부(사념처)

자수향 2009. 2. 7. 11:49

 

 

 

   ◈청정도론(남방불교의 대표적 수행지침서)의 교학의 주제

 

6가지 주제- 온(오온),처(12처),계(18계),근(22근) 제(사성제)연(12연기)

                  : 불교의 인간론,나는 누구-오온(색 수 상 행 식)-무상,고,무아

                          →염오 이욕 소멸 =열반

                  : 불교의 존재론

                       12처(감각장소) -인식주체 (안이비설신의; 육내처)

                                                     대상 (색성향미촉법 ; 육외처)

                  : 인간 존재의 18가지 구성요소

                      12처와 6식(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

                                              →마음이 일어나는 장소 )

                  : 인간이 가질 수 있는 기능,능력

                  : 진리-사성제(고;현실=괴로움,집=갈애,멸=열반,도=팔정도)

            12기: 조건발생, 소멸

 

◈ 수행,수행법(교학을 바탕)

 

    초기불교의 수행 37가지방법

   북방:중국-조도품:깨달음을 얻기 위한 37가지 방법

    4가지 도(道)magga=성인(예류,일래,불한,아라한;깨달음의 경지)

    청정도론,주석서,경- 37보리분법(bodhipakkhiya dhammã)

    37가지--⓵ 4념처 (4가지 마음챙김의 확립)

                 ⓶ 4정근 (政勤,바른 노력)

                 ⓷ 4여의족 (如意足 성취수단)

                 ⓸ 5根 (5가지 기능)

                 ⓹ 5력 (제어,억제하는 힘)

                 ⓺ 7각지(깨달음의 구성요소)

                 ⓻ 8정도

 1. 4념처

   마음챙김의 대상 ? 1, 身(몸) -14가지 주제

                                  受(느낌)-1가지

                                  心(마음) -1가지

                                 法(법) -5가지 총21가지 주제 (대념처경)

 

  마음챙김(sati念-patthãnã處); 마음이 대상을 챙기는 것,아는 것

  대상에 깊이 들어가는 것(청정도론)=대상에 확립하는 것 집중=삼매(定) 집념을 떠나서 오직

  하나의  대상에만  정신을 집중하는 경지(삼매수행)

  통찰지(慧) =반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