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란 무엇인가요/초기불교의 교학과 수행

제14강 -네가지 마음챙기는 공부 사념처

자수향 2009. 2. 13. 18:06

◈마음챙김-대상을 지속적으로  마음을 기울임

   sati- to remember  念 불교만의 독특한 수행법

       왜 마음챙김인가? 

                                   1)  바라문이여, 이처럼 다섯가지 감각기능은

                                        각각 다른 대상과 각각 다른 영역을 가져서

                                        서로 다른 대상과 영역을 경험하지 않는다.

                                        이들 다섯가지 감각기능은 마음[意]을 의지한다.

                                        마음이 그들의 대상과 영역을 경험한다.

                                     →고따마존자시여,

                                        그러면 마음은 무엇을 의지합니까?

                                         바라문이여, 마음은 마음챙김을 의지한다.

                                     →고따마존자시여,

                                        그러면 마음챙김은 무엇을 의지합니까?

                                         바라문이여, 마음챙김은 해탈을 의지한다.

                                     →고따마존자시여

                                        그러면 해탈은 무엇을 의지합니까?

                                           바라문이여, 해탈은 열반을 의지한다.                <상윳다니까야 운나바 바라문경>

 

                                   대상-오근-마음-마음챙김-해탈-열반 (마음과 해탈을 연결시켜주는 중요한 기능역할)

 

                                2)안세고(중국 후한시대 최초 한역-번역자) - 安般守意經(출입식염경,호흡관법경)의

                                                                  원제목anapana(날숨들숨) sati(수의= sutta mano;마음)마음을 지킴

                                3)사띠=念=마음이 지금에 머뭄(~을 멈춤)

 

  ◈  마음챙김-초기경-1) 대념처경; 절대적 가치를 지닌 올바른 생각으로 대상을 관찰하는 법을 가르치는 경전D22/M10

                                              마음챙김의 주제-身(14가지) 受 (9가지) 心 (16가지) 法(5가지) 포함

                               2) 몸(身)- 14가지:M119 몸에 대한 마음챙김경=念身經

                               3) 들숨 날숨; 14가지중 M118번째 경=出入息經

                     주제  - 신수심법(몸-14가지주제: ①들숨날숨 ②네가지 자세 ③네 가지 분명하게 알아차림④32가지 몸의 형태

                                                                ⑤사대를 분석) ⑥~⑭ 아홉 가지 공동묘지의 관찰 (우리몸이 변해가는과정) 

 

     1.마음챙김의 대상은 `나`자신이다.-신 수 심 법(수행) 오온(색수상행식:교학)

                                                          ↓  ↓  ↓  ↓

                                                          색 수 식 상,행   수행의 대상 `나`=오온이 아닌 신수심법(심리현상)으로 해체(수행)=해탈열반

 

     2. 개념적 존재의 해체가 중요하다.- 아트만이 있다고 속지말라. 해체해서 보라-법-객관적-무상 고 무아

 

     3. 마음챙김은 대상이 중요하다.-대상을 놓지지 말라. 대상을 설정-무상 고 무아

               `대념처경`의 수행의 결과는 사성제를 관찰해서 구경의 지혜를 증득하는 것으로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