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강 -오근과 오력
37조도품 중 오근(해탈 열반을 이루는 수단)=indriya, 根, 기능= 力(내려 누르,는 힘)
1, 믿음(信)=saddha
2, 정진(精進)=viriya,노력
3, 염 (念)=sati,마음챙김
4, 정(定) samadhi,삼매
5, 혜(慧)=panna,통찰지 5가지 기능을 개발-해탈 열반을 실현
*부처님이 말씀하신 그대로를 알고 실천하려 노력-제자의 마음가짐
제정하신 계율을 받아 지녀야 진정한 제자 -모든 근원을 부처님 말씀 속에서 찾아야 함-진정한 불교
◈ 부처님의 정의
*비구들이여, 다섯가지 기능이 있다. 무엇이 다섯가지인가?
1.믿음의 기능, 정진의 기능, 마음챙김의 기능, 삼매의 기능, 통찰지의 기능이다. 믿음의 기능은 여기 네 가지 예류자의 구성요소에서 봐야한다.(예류;미혹을 끊고 성자의 대열에 든 자) →佛, 法 僧, 戒에 대한 믿음 2.정진의 기능은 어디서 봐야 하는가? 정진의 기능은 여기 네가지 바른노력에서 봐야 한다.→선법(2가지), 불선법(2가지)
3. 마음챙김의 기능은 어디서 봐야하는가? 마음챙김의 기능은 여기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에서 봐야한다. →身(몸),受(느낌),心(마음) 法(심리현상) 4. 삼매의 기능은 어디서 봐야 하는가? 삼매의 기능은 네 가지 禪에서 봐야 한다.-초선,이선,삼선,사선 5. 통찰지의 기능은 어디서 봐야 하는가? 통찰지의 기능은 여기 네가지 성스러운 진리에서 봐야한다.
|
*믿음; 초기경- 1,sadda 신뢰-믿음을 총채적 →2,pasada 깨끗한 믿음(청정심) → 3,adhimokha 信解, 확신
*정진:선,불선
*마음챙김(念) -신수심법
*정=삼매,집중=삼매를 닦으면 5가지 장애가 없어진다.(①감각적욕망②악의③해태와혼침;게으름과 멍청한 상태 ④들뜸,후회⑤의심)
*혜=통찰지=무상고무아=사성제
念 定 慧 → 수행의 핵심, 대승불교의 간화선(看話禪)의 삼요(三要)=대신심(大信心),대분심(大憤心),대의심(大疑心)
믿음 정진 념정혜를 균등히 발전
<다섯가지 기능을 조화롭게 닦음>
다섯가지 기능을 조화롭게 닦는 것이 중요하다.
청정도론에서 이렇게 말한다.
"기능(根)을 조화롭게 유지함이란 믿음 등의
기능(五根)들을 조화롭게 만드는 것이다.
만약 그에게 믿음의 기능이 강하고
나머지 기능들이 약하면 정진의 기능(精進根)이
노력하는 역할을 할 수 없고, 마음챙김의 기능이(念根)이
확립하는 역할을 할 수 없고, 삼매의 기능(定根)이
산만하지 않는 역할을 할 수 없고 통찰지의
기능(慧根)이 [ 있는 그대로] 보는 역할을 할 수 없다.
*마음챙김은 모든 곳에서 강하게 요구된다.
특별히 믿음과 통찰지의 균등함과 삼매와 정진의 균등함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