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란 무엇인가요/초기불교의 교학과 수행

20강-삼학과 오법온과 칠청정

자수향 2009. 3. 28. 15:56

계 정 혜-정학(삼매에 대하여)

 

배워야할 주제-삼학 Ti-sikka

 

계학: 청정도론에서 silana(계행)-실천강조, 정의: 단속(samvara)-문단속(내면 수행을 보호) 문=6근

 

학:  samadhi (定,삼매의 음역)

          cittassa ekaggata ; 마음이 한 끝에 모임,집중(-一 - -마음이 하나의 대상에 집중)

                                                                   

         주석서( kusala 유익한, 善 cittassa ekaggata)

 

       왜 삼매를 닦아야 하는가?

 

                                        삼매를 닦으므로 불선심이 극복된다. 7가지 해로운 마음-5개

 

 

 

 五蓋(다섯가지 장애) nivarana?

 

       1, 감각적욕망(오욕-재욕,식욕,색욕,명예욕,수면욕)

 

       2, 악의

 

       3, 해태(나태함)와 혼침(멍한 상태)

 

       4, 들뜸과 후회(惡作)-율장에서는 건전한 의문으로 불선법이 아님.

 

              -아비달마에선 후회 자체는 나쁜 심리 현상으로 봄

 

       5, 의심

 

 

                                                  *5가지 장애가 극복되야 초선 이상의 삼매에 들게 됨.

 

 

 

 

                   초기경-초선의 구성요소 (尋=심, 일으킨 생각, 伺=사,지속적 고찰, 喜희열, 樂행복, 定삼매),

                                                           심,사는 언어적 사유

 

                               2 선의 구성요소   언어적사유가 사라짐(심,사),희,락,정 만이 남음.

                                                           희열과 행복이 있는 경지

 

                              3 선의 구성요소  희열까지 사라지고 행복만이 있는 경지.

 

                          4 선의 구성요소  행복까지 사라지고 사(倽=평온)만 남음 흔들림이 없는 경지,

                                                          호흡마저 끊어짐, 신통을 얻음,(신통의 토대가 되는 선)

 

                  어떻게 삼매를 얻을 것인가? nimitta(표상)에 집중 됨.-이미지,영상,잔상

                                                           청정도론:40가지 명상주제

 

                            익힌 표상 ; 눈 앞의 대상과 똑같이 마음에 인지된 대상의 복사판---근접 삼매

 

                       닮은 표상 ; ‘익힌 표상’에 복사된 더욱 청정하고 완전한 형태로 마음에  확고하게

 

                                              자리 잡은 표상 ---본 삼매

 

                           * 삼매를 닦으면 악도에 태어 나지 않는다.-,통찰지를 얻는 토대,주석서에서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