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란도란휴게실/자수향의 돋보기 세상

청와대 성상납-장자연리스트 공통점

자수향 2009. 4. 3. 21:56


시사비평 2009/04/01 08:03 손석춘

청와대는 ‘성 접대 로비’와 ‘안마 탈선’도 구분 못하는가.
사뭇 준엄하다. 누구의 다그침일까. 바로 <조선일보> 사설(4월1일자) 제목이다. <동아일보>도 사설 제목을 “‘룸살롱·성접대 로비’와 축소 의혹, 모두 심각하다”로 내걸었다. <중앙일보>는 하루 앞서 사설 “룸살롱서 휘청대는 청와대 기강”을 내보냈다.
제목에서 묻어나듯 <조선일보>의 목소리가 가장 쩌렁쩌렁하다.

“이 사건은 청와대 행정관 한 명의 성매매 탈선 문제가 아니다. 청와대 행정관과 부처 공무원이 정부 결정에 따라 회사 운명이 결정될 수도 있는 업계 관계자로부터 룸살롱 접대, 성 로비를 받은 중대한 오직 사건이자 공무원 기강 문란 문제이다.”

그렇다. 이는 단순한 성매매 탈선 문제가 아니다. 따라서 <조선일보>가 청와대를 겨냥해 ‘성 접대 로비’와 ‘안마 탈선’도 구분 못하는가라고 묻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하지만 궁금하다. 왜 갑자기 지금인가.

모르쇠하던 조선일보 뒤늦은 청와대 훈계

단순 성매매가 아니라는 사실은 이미 3월29일에 드러나기 시작했다. 이미 방송통신위원회는 3월29일 진상조사에 나서 3월24일 밤 청와대행정관과 방송통신위원회 간부에 더해 케이블 방송업계 관계자가 함께 자리한 사실을 확인했다. 아울러 이들의 ‘향응 제공’ 여부를 조사한다고 밝혔다.

3월30일 아침. <한겨레>와 <경향신문>은 각각 ‘성접대’ 사실을 1면과 2면에 비중있게 편집해 보도했다. 나 또한 3월30일 아침, 블로그 <손석춘의 새로운 사회>에 “청와대 ‘성매매’ 조직적 은폐의혹” 칼럼을 올렸다. 사건의 실체가 성매매가 아니거니와, 그렇다고 성접대 차원으로 그칠 문제가 아니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다시 강조하지만 이 사건의 본질은 청와대가 행정관의 성접대 사실을 조직적으로 은폐한 데 있다.

<조선일보>가 청와대에 그 물음을 던지는 이유가 궁금한 까닭이다. <조선일보>는 <한겨레>와 <경향신문>이 비중있게 보도한 그날 아예 기사를 내보내지 않았다. <조선일보>가 기사를 내지 않은 사실이 네티즌들로부터 비판을 받자 다음날에 기사를 내보냈다. 이어 그 다음날 사설이 나왔다.
그래서다. 청와대에 던진 그 질문을 <조선일보>에 되묻고 싶다.<조선일보>는 ‘성 접대 로비’와 ‘안마 탈선’도 구분 못했는가. 왜 뒤늦게 청와대를 훌닦고 나섰는가. ‘성 접대 로비’에 자신들이 침묵한 게 부담으로 다가왔을 법하다. 그렇지 않아도 한 연예인의 성접대 문제가 장안의 화제로 불거진 상황이다.

문제는 은폐의혹이 아니라 누가 은폐했는가에 있다

하지만 <조선일보>는 아직도 조직적 은폐 문제는 거론하지 않고 있다.
<동아일보> 사설은 “청와대와 경찰은 이 사건 관련자들의 비위를 축소 은폐하려 했다는 의심을 살 만하다”고 썼다. 하지만 이 또한 부족하다. “의혹을 살 만하다”가 아니다. 이미 은폐 의혹은 사실로 드러났다. 심지어 룸살롱에서 케이블방송 업체가 계산한 돈도 80만원이 아니라 180만원으로 드러났다.

그렇다. 문제의 핵심이 더는 은폐 의혹 아니다. 누가 은폐를 주도했는가다. 첫 칼럼(청와대 ‘성매매’ 조직적 은폐의혹)에서도 썼지만 거듭 촉구한다. 성상납 은폐가 청와대 민정수석실, 대변인실에 그친 문제인가. 아니면 대통령까지 모든 걸 알고 있었는가. 명명백백하게 밝혀라.

청와대 성상납과 장자연 리스트의 공통점, 은폐다. 경찰 수사의지의 실종이다. 그래서다. 명토박아둔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여성을 접대와 상납의 도구로 쓰는 부라퀴들은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실체적 진실을 드러내야 옳다. 누가 집요하게 은폐하고 있는가도 밝혀야 옳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