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백중법회(09.7.13)
염불은 인간의 고통을 해결하는 만병 통치약이라하셨습니다.
게송- 올 때도 빈손으로 왔고 갈 때도 빈손으로 가나니. 자기 재물에도 연 연 할 것이 없거늘 어찌 남의 재물에 마음을 둘 수가 있으랴. 만반으로 갖춘 것도 다 가져가지 못하고 오직 자기 지은 업만이 이 몸을 쫓을 것이니라. 사흘 동안 닦은 마음은 천년의 보배가 되고 백년 동안 탐낸 재물은 하루 아침에 티끌이 되느니라.
우란분재(盂蘭盆齋)란? 1. 선망부모 인연 있는 망자들을 악도로부터 천도하는 법회-100기도, 음력4월 보름~7월 보름 회향(일년중 가장 맑은 날) 자자참회(대중앞에 죄를 드러냄), 발로참회-스님들의 수행의 공덕으로 온 우주가 한번 헹궈지는 날, 하늘의 힘으로도 어쩔 수 없는 지옥 중생 조차도 천도시킨다는 날. 영가들이 재를 지내 주기를 간절히 기다리는 날 -→ 어떻게 기도-→ 올바르게 회향 2. 언행을 조심(산란심), 절식, 정돈된 마음 "비구들아 너희가 모여 있을 때 두 가지 할 일이 있다. 하나는 법을 이야기하든지 그렇지 않으면 성스러운 침묵을 하라." (기원정사에 계실 때) 배려하는 마음-절제 절식하는 마음가짐. 3. 기도의 목적(원력)을 두어야 한다.(경로설정-기도를 통해 무엇을 성취할 것인가) 분명한 원력-내 삶을 변화시켜야 겠다라는 서원- → 정진, 노력-→ 성취
*수행법5가지 불사수행- 삼보에 귀의하고 예배, 찬탄하여 타인에게 경전불사, 은전불사, 비전불사;봉사) 간경수행(경전을 익혀 나가면서 안으로는 마음을 향하고 밖으로는 행실을 가다듬어 나감.) 참선수행(생각을 고요), 염불수행(무심 무념의 경지), 주력수행(진언다라니-집중력, 기억력) - 성불의 인연
*우란분재는 망자를 위한 기도- 지장경(영가를 위한 기도 방법) 일정기간49일을 정하고 불보살님께 공양, 영가의 극락왕생(지장보살염불)- 좋은 세상에 나기를 기원 -→ 영가의 해탈-→ 사람이나 천상에 태어남. 49재(영가가 중유세계에 머물고 있는 기간에 재를 지내면 영가의 악업이 소멸, 왕생극락) -→ 미신행위-→ 방종하기 쉬운 삶, 부도덕한 삶. 내생에 대한 확신이 있기에 지금까지 이어져 옴.-→ 재의식이 우리 삶에 이득을 주기에 우리로 하여금 삶을 겸허하게 하고 경건, 도덕, 공동체를 의식하며 살게 하여 준다. 이 齋儀式은 -모든 자연이 공동운명체로 엮여 있음을 인식하는 표현-영가를 위한 재는 수행 공덕이 됨.
1,지장보살염불(인간의 고통을 해결)-죄의식의 근원-병을 만듬. 우리의 의식이 새로운 물질을 만듬(모든 병은 마음에 있다) -마음의 자유로움을 연다. 생사해탈장(내가 변화면 외부가 변환다) 2.공양을 올림 3.지장경독송(천도되지 못한 영가들을 천도하는 방법을 설해 놈) 위신력에 대한 확신. 불교는 통불교-깨달음과 통함(염불 간경...) 공동체, 긍정적 사고-주변환경이 변화-나를 변화, 나와 영가를 위해 행복한 길로 가는 길, 즉 기도가 나를 행복하게 해 줄 것이고 슬픔을 멈추게 해줄 것이고 갈증과 애증을 멈출 것이고 나를 행복으로 이끌 것이다.- 바로 영가를 해탈케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