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수향 2009. 8. 22. 09:45

 

 

 

다 쓸어버릴 듯 큰 비가 온 8월

축축한 대지 위에서도 올올이 서릿발같은

아름다움, 장삼모시는 내게 말을 잇는다.

-망념을 잘라내라 반드시 그리하라.

 

 

 

 

 

산산이 부서지거라 나의 망상이여 꿈인줄 알라

 대승불교 사상의 실천 수행법

   "육바라밀"에 대하여

 

 종교란? 궁극적이고 절대적인 생각으로서 숭배하

 고 신앙함으로서 행복을 얻고자자 하는 것.

 신념,믿음은 행동을 구체화시킴. 믿음의 절대성

 

 불교는 무엇을 믿는 것인가? - 불 법 승- 삼보

 부처님에 대한 믿음은 신적인 의미가 아닌 불교

  의창시자,진리를 발견한 지혜의 상징, 행복을 찾

  는방법을 가르쳐 주신 분.

 

 대승불교의 특징-삼보의 의미

 보살사상, 출재가자의 구체적 목표 설정,

 지혜의 완성

 -반야바라밀다 -궁극적목표

 

 보살정신-자비행,이타행:실천적 삶

 (육바라밀수행)

 삼신불의 개념-법신, 보신, 화신(석가모니)-보살

                      개념의 확장

 *석가모니게서 열반 후 그 인격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불신설이 전개 -관세음,약사 보현, 지장보살

  등 다수의 불보살- 대승교도들의 구제의 원, 이타

  적인 삶

 

용수의 중관(공사상)- 현상계의 집착을 타파하기 위해 창조된 사상,

  공사상의 심취는 허무적 경향-악취공(“공”을 잘못판단)

유식사상-유가종, (공)허무주의의 경계

                                              - 기초교리8회 참고 

 

 대승의 논서-대승기신론, 대승기신론소(원효)

 대승이란? 광대하고 넓다. 싣다.

 유지하고 진리를 실현하다라는 뜻.

 

 삼승: 성문승(聲問乘)-부처님의 법문을 듣고 깨닫

         는다(사제를 통한 깨달음)

         연각승(緣覺乘)- 스승없이 스스로 12연기,

         인연법을 통해 깨달음을 얻는 이, 독각승,

         (예-원불교창시자)

         보살승(菩薩乘)- 상구보리 하화중생,교화제

          도하는 보살의 모습,대승불교의 대표적

          수행

          자의 모습(사무량심,사섭법,육바라밀)-

         우리들의 모습이어야 함.- 이타행, 실천수행

 

 “나“는 어떤 모습으로 살아가는가?

 상대를 보고 나를 보는 연습- 주변을 살피고 나를

  관찰- 이 순간은 두 번 다시 오지 않는다.

 생각지어가기- 보살의 수행방법중 하나

 

 대승의 마음을 어떻게 일으키겠는가?

 

 믿음은 진여심(자신의 불성에 대한 확신)에서 온

 다.- 삼보에 대한 믿음- 고통과 번뇌를 정화-지혜

 의 완성- 육바라밀(일체지를 증득하기 위한 실천

 행; 지혜,지계,보시,인욕,정진,선정

 

 보시:재보시(財布施), 법보시(法布施),

       무외보시(無外布施)의 세 가지 종류

 

 탐욕에서 걱정, 분노,두려움이 생기고 자의식의

 집착에서 병이 따른다. 생각에 매몰- 과대망상-

 마음의 병- 버림과 나눔; 보시란 치유의 구체적

                             행동-수행

 

지혜를 돕도록 도우는 일은 큰 파급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