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교리2부10회-09.7월 초하루
다 쓸어버릴 듯 큰 비가 온 8월 축축한 대지 위에서도 올올이 서릿발같은 아름다움, 장삼모시는 내게 말을 잇는다. -망념을 잘라내라 반드시 그리하라.
산산이 부서지거라 나의 망상이여 꿈인줄 알라 |
대승불교 사상의 실천 수행법 "육바라밀"에 대하여
종교란? 궁극적이고 절대적인 생각으로서 숭배하 고 신앙함으로서 행복을 얻고자자 하는 것. 신념,믿음은 행동을 구체화시킴. 믿음의 절대성
불교는 무엇을 믿는 것인가? - 불 법 승- 삼보 부처님에 대한 믿음은 신적인 의미가 아닌 불교 의창시자,진리를 발견한 지혜의 상징, 행복을 찾 는방법을 가르쳐 주신 분.
대승불교의 특징-삼보의 의미 보살사상, 출재가자의 구체적 목표 설정, 지혜의 완성 -반야바라밀다 -궁극적목표
보살정신-자비행,이타행:실천적 삶 (육바라밀수행) 삼신불의 개념-법신, 보신, 화신(석가모니)-보살 개념의 확장 *석가모니게서 열반 후 그 인격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불신설이 전개 -관세음,약사 보현, 지장보살 등 다수의 불보살- 대승교도들의 구제의 원, 이타 적인 삶
용수의 중관(공사상)- 현상계의 집착을 타파하기 위해 창조된 사상, 공사상의 심취는 허무적 경향-악취공(“공”을 잘못판단) 유식사상-유가종, (공)허무주의의 경계 - 기초교리8회 참고
대승의 논서-대승기신론, 대승기신론소(원효) 대승이란? 광대하고 넓다. 싣다. 유지하고 진리를 실현하다라는 뜻.
삼승: 성문승(聲問乘)-부처님의 법문을 듣고 깨닫 는다(사제를 통한 깨달음) 연각승(緣覺乘)- 스승없이 스스로 12연기, 인연법을 통해 깨달음을 얻는 이, 독각승, (예-원불교창시자) 보살승(菩薩乘)- 상구보리 하화중생,교화제 도하는 보살의 모습,대승불교의 대표적 수행 자의 모습(사무량심,사섭법,육바라밀)- 우리들의 모습이어야 함.- 이타행, 실천수행
“나“는 어떤 모습으로 살아가는가? 상대를 보고 나를 보는 연습- 주변을 살피고 나를 관찰- 이 순간은 두 번 다시 오지 않는다. 생각지어가기- 보살의 수행방법중 하나
대승의 마음을 어떻게 일으키겠는가?
믿음은 진여심(자신의 불성에 대한 확신)에서 온 다.- 삼보에 대한 믿음- 고통과 번뇌를 정화-지혜 의 완성- 육바라밀(일체지를 증득하기 위한 실천 행; 지혜,지계,보시,인욕,정진,선정
보시:재보시(財布施), 법보시(法布施), 무외보시(無外布施)의 세 가지 종류
탐욕에서 걱정, 분노,두려움이 생기고 자의식의 집착에서 병이 따른다. 생각에 매몰- 과대망상- 마음의 병- 버림과 나눔; 보시란 치유의 구체적 행동-수행
지혜를 돕도록 도우는 일은 큰 파급효과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