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청(丹靑) |
단청은 건축물을 화려하게 장식하여 아름답게 보일 뿐만 아니라 상징성을 부여하는 창조적 예술행위이다. 단청은 청색·적색·녹색·백색·흑색 등 여러 가지 색을 활용하여 문양이나 그림을 벽면이나 나무에 채색하는 것으로 목재를 보호하고 장식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나아가 위풍과 장엄을 위한 것으로 궁전이나 법당 등 특수한 건축물을 장엄하여 엄숙한 권위를 나타내는 효과로 특수기념물의 성격을 갖게 한다. 이러한 단청은 삼국시대에 확립되어 고려·조선시대를 거치면서 단청의 내용이나 구도가 조금씩 달라지기는 하였지만 그림과 색체로 우리의 사상을 표현하려는 기법은 면면히 지속되면서 다양하게 발전된다. |
|
단청의 종류 가칠단청 긋기단청 모로단청 금단청 |
|
|
단청 문양은 기하무늬, 당초무늬, 동식물무늬, 길상무늬, 상징무늬 등을 장식한다. 그리고 단청문양은 구성에 따라 머리초(頭草), 별화(別畵), 비단무늬, 단독무늬 등으로 대별된다. 이중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문양은 머리초로서 창방, 평방, 도리, 대들보 등과 기둥 상부, 부연, 서까래 등의 끝부분에 가장 주가 되는 문양이다. 머리초의 문양은 시대와 건물의 격식 그리고 도안가들의 의도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녹화-연화-주화-석류동-방울무늬 등의 순서로 배열된다. 머리초는 문양 기법에 따라 은머리초, 반머리초, 병머리초, 장구머리초, 겹장머리초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연화와 석류 등을 활용한 문양이 가장 많이 애용되었다. |
|
온머리초(全頭草) 휘(暉) 겉곱팽이(外螺旋) 결련금(結連錦) 계풍(界風) 낙은동 둘레주화 뒷목(後目) 딱지 먹당기 |
|
|
묶음 민주점 바자휘 번엽 분(粉) 삼보살 |
|
|
석류동(石榴胴) 쇠첩 양록붙임 육실 인휘(人暉) 질림 풍혈(風穴) 하엽붙임 황방울(黃鈴) |
45년간 설하신 법문 순서 (0) | 2009.03.02 |
---|---|
한국불교사 (0) | 2009.02.15 |
불교미술이란 (0) | 2009.01.24 |
[서평] 원전으로 읽는 금강경 - 각묵스님 지음 <금강경 역해> (0) | 2009.01.23 |
한역 금강경과 티베트 금강경의 차이 (0) | 2009.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