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정도 -37조도품 중 마지막 앞의 6가지 주제의 결론
부처님의 정의=八支聖道
원어; ariya-atthañgika-magga 聖-8가지구성요소-道
ariya=성스럽다, 성자(팔정도를 완성한 자, 예류,일래,불환,아라한)
초기불교 교학의 4성제의 성=ariya-sacca(성스러운 진리)
수행의 37조도품중 어디에도 성이 없느나 팔정도(팔지성도)에 성스러움이 있다.
* 팔정도를 닦아서 사성제를 본 자. 완성한 사람=ariya
팔정도는 최초(초전법륜경-오비구)이자 마지막 대반열반경에서 강조
→초기경
비구들이여,
출가자가 가까이 하지 않아야할 두 가지 극단이 있다. 무엇이 둘인가? 그것은 저열하고 촌스럽고 범속하고 성스럽지 못하고 이익을 주지 못하는 감각적 욕망들에 대한 쾌락의 탐닉에 몰두하는 것과, 괴롭고 성스럽지 못하고 이익을 주지 못하는 자기 학대에 몰두하는 것이다.
|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 극단을 의지하지 않고 여래는 중도를 철저하고 바르게 깨달았느니 [이 중도는 ] 는을 만들고 지혜를 만들며, 고요함과 최상의 지혜와 바른 깨달음과 열반으로 인도한다.
상윳다 니까야 초전법륜경 |
초기불교의 중도(팔정도)는 용수의 팔불중도가 아님
팔불중도; 不一,不異,不去,不來, 不生,不滅, 不常,不斷
→대반열반경; 반열반(‘완전한 열반’이라는 뜻으로 석존의 입멸을 말함)
5가지 유언-수밧다(마지막 제자)에게 말함
어떤 것이 진정 사문의 길인가?
수밧다여, 어떤 법과 율에서든
여덟 가지 성스러운 도[八支聖道]가 없으면 거기에는 사문도 없다. 거기에는 두 번째 사문도 없다. 거기에는 세 번째 사문도 없다. 거기에는 네 번째 사문도 없다.
|
수밧다여, 그러나 어떤 법과 율에서든 여덟 가지 성스러운 도[八支聖道]가 있으면 거기에는 사문도 있다. 거기에는 두 번째 사문도 있다. 거기에는 세 번째 사문도 있다. 거기에는 네 번째 사문도 있다. 수밧다여, 이 법과 율에는 여덟 가지 성스러운 도[八支聖道]가 있다. 수밧다여, 그러므로 오직 여기에만 사문이 있다.
|
디가닛까야19. 마하고윈다경(범천이 설주가 되어 마하고윈다라는 부처님 전생담을 설한 것)
부처님 전생에는 단지 천상세계에 태어나는 것만 가르쳤는데 이제 드디어 깨달아 열반을
가르쳐주는 것이다.
나는 그 제자들에게 범천의 일원이 되는 길을 가르쳤다. 빤짜시카여, 나의 그런 청정범행은 [속된 것들을] 역겨워 함으로 인도하지 못했고, 욕망의 빛바램으로 인도하지 못했고, 소멸로 인도하지 못했고, 고요함으로 인도하지 못했고, 최상의 지혜로 인도 하지못했고, 바른 깨달음으로 인도하지 못했고, 열반으로 인도하지 못했다 그것은 단지 범천의 세상에 태어남으로 인도하는 것이다. |
빤짜냐시카여,그러나 지금 나의 이러한 청정범행은 전적으로 [속된 것들을] 역겨워 함으로 인도하고, 욕망의 빛바램으로 인도하고, 소멸로 인도하고, 고요함으로 인도하고, 지혜로 인도 하고, 바른 깨달음으로 인도하고, 열반으로 인도한다. 그것은 바로 이 여덟가지 성스러운 도 [八支聖道]이니 그것은 곧 正見, 正思惟, 正語, 正業, 正命, 正精進, 正念, 正定이니라. -디가닛까야 마하고윈다경 |
*불교를 특징 짓는 핵심으로 팔정도를 설함
<구성요소>
정견이란? 사성제를 아는 것,연기를 아는 것.[迦旃涏經 (가전연경)부처님이 정등각한
내용, 즉 중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한 경전]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견해인가? 비구들이여, 괴로움에 대한 지혜 괴로움의 일어남에 대한 지혜 괴로움의 소멸에 대한 지혜 괴로움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 닦음에 대한 지혜 이를 일러 바른 견해라고 한다.
|
바른 사유란? 출리(욕망으로부터 벗어남),四無量心(慈 悲 喜 捨-보살의 네가지마음)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사유인가? 도반들이여, 출리에 대한 사유, 악의 없음에 대한 사유, 해코지 않음[不害]에 대한 사유 이를 일러 바른 사유라고 한다.
|
정어란? 망어,기어,양설,악구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말인가? 비구들이여, 거짓말을 금하고 중상모략을 금하고 욕설을 금하고 잡담을 금하는 것 이를 일러 바른 말이라 한다. |
정업이란?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생계인가? 비구들이여, 살생을 금하고 도둑질을 금하고 삿된 음행을 금하는 것 이를 일러 바른 행위라 한다. |
정명이란? 신업. 직업, 출가자는 무소유, 제가자는 앙굿다라니까야:증지부에서
대표적으로 인신매매,독극물 판매, 무기판매를 하면 안된다 하셨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바른 생계인가?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그릇된 생계를 제거하고 바른 생계로 생명을 영위한다. 비구들이여, 이를 일러 바른 생계라고 한다. |
정 진 ? 불선법(없애려노력), 선법(증장.37조도품) 택법각지-선,불선을 간택
정 념 ? 나- 사념처 (신수심법)분해해서 그 중 하나를 대상으로 삼아서 마음챙김
정 정 ? 바른삼매 초선 이선 삼선 사선
* 팔정도는 예비 단계의 道로 볼 수 있고 완성된 道로도 볼 수 있다.
20강-삼학과 오법온과 칠청정 (0) | 2009.03.28 |
---|---|
19강 팔정도(2) (0) | 2009.03.20 |
17강 -칠각지 (0) | 2009.03.10 |
16강 -오근과 오력 (0) | 2009.02.27 |
15강-4정근,4여의족 (0) | 2009.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