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기초교리2부-5회(09.2.25)

본문

 

 

 

 

게송

*뱀의 독이 몸에 퍼지는 것을 약으로 다스리듯

 분노가 일어나는 것을 제압하는 사람은

 이 언덕과 저 언덕을 모두 떠난다.

 뱀이 묵은 허물을 벗어 버리듯. (숫타니파타1-1)

*사귐이 깊어지면 애정이 싹트고

 사랑이 있으면 거기 고통의 그림자가 따르나니

 사랑으로 부터 불행이 시작되는 것을 깊이 관찰하고

 저 광야를 가고 있는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숫타니파타1-36)

 

《법문요약》 

 부처님 열반 후 분열-부파시대(상좌부,설일체부,대중부,하지부 등 )-소멸-상좌부만 남음(부처님 가르침에 충실,철학적,종교적)

 부처님이 열반에 드신 후 제자들이 생전에 설한 말씀을 암송해 구전시킨 것을 최초의 경전결

 집이라 한다-1차. 그러다 팔리어 라는 언어를 통해 비로서 문자화 되면서 경전이 새로운 체제를 갖추게 됐다.(3차)-패엽경

 

 

⊙초기경전

  아함경 : 설법하는 부처의 모습을 느낄 수 있는 초기 경전.  

  숫다니파타 : 가장 오래된 부처의 말. 모두 1149수의 단편으로 된 경전 묶음  

  법구경 : 지혜로운 삶으로 인도하는 말로. 가장 오래된 경전중에 하나  

  불유교경 : 부처가 제자들에게 남긴 마지막 가르침이자 유훈  

  사십이장경 : 중국어로 번역된 최초의 경전. 모두 42장으로 구성되어 있음

  밀린다팡하 : 그리스의 메난드로스 왕과 나가세나 비구가 펼치는 불교에 대한 대론.  

 

 *불교경전 중 아함경(중국,한역경전) =니까야(남방에서 대하고 있는 경전);경전의 분류,편집방법을 경전의 길이를 기준

  잡아함경; 짧은 길이의 경전 모음 = 상윳다니까야

  중아함경; 중간 길이의 경전 모음 = 맛지마니까야

  장아함경 ;긴 길이의 경전 모음    = 디가니까야

  증일아함경;법수에 맞는 가르침 모음 =앙굿다라니까야

 숫타니파타; 쿳다까니까야에 속한 경전으로 길이가 아주 짧으며,다른 경전들처럼 묻고 답하는 이가 따로 있지 않은 운문 형식

                  교리를 체계화 시키기 전 짧은 가르침, 간단 명료한 해답 

 

 부처님의 원음에 가까운 니까야 읽기

 대승경전의 난해하고 어렵고 추상적이고 잘못되고 왜곡된 불교교리 바로알기

 

오늘 법문의 키워드

 신통으로는 괴로움이 소멸되지 않는다.

 부처님의 가르침은 우리 마음이 결박되어 있는 한 즉 무명 탐욕,애착,사견,집착이 우리를 자유롭지 못하게 하므로

 뱀이 허물을 벗듯,광야를 걸어가는 무소를 들어 설법하셨고 순간 순간 이 괴로움이 어디서 부터 왔는지 주위깊게 살피고

 알아차림(정념)-(정사유)-(정정진)으로 근본적 고통에서 벗어날 수있다. 

 마음은 순간의 집중과 노력으로  괴로움을 좋은에너지로 바꿀 수 있으며 더 기쁜 것에 집중,-그러면 우리 삶은 행복이다. 

 

 ※스님과 많은 신도분들께서 '어린이영어불교편찬위'의 세분 선생님들께 격려와 감사의 큰 박수를 보내셨습니다.

    이추경님-불교TV 진행상황보고, 영어로 불교의 핵심이 얼마나 잘 전달될까의 우려가 많은 분들로 부터 호평을 받음

                  우리 불자들의 깊은 관심, 포교화할려면 불자님들이 우선 공부하였으면 바람

    이유정님-구성작가로서 어린이에게 불교를 가르치기 위한 목적,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영어는 세계공용어이자 필수언어

                  불자님들의 시청포인트에 관하여 

 

 전에 스리랑카 성지순례 갔을 때 구한 패엽경입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