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므로 마룬카여, 내가 설하지 않은 일은 설하지 않은 채로 수지(受持;붓다의 가르침을 받아들여 지니는 것)함이 좋고
또 내가 설한일은 설한 대로 수지함이 좋으니라.
그러면, 마룬카여, 내가 설한 것이란 무엇인가? 이는 고(苦)이다. '라고 나는 설했다. '이는 고의 발생이다,'라고 나는 설했다.
'이는 고의 멸진이다.'라고 설했다. 또 '이는 고의 멸진에 이르는 길이다.'라고 나는 설했다.
마룬카여 왜 나는 그것들을 설했던가?
마룬카여, 그것들은 정말 도움이 되며, 범행(梵行; 청정한 행위, 욕망을 끊는 것)의 기초가 되며,
적정, 증지, 등각, 열반에 이바지 하느니라. 그러기에 설했음을 알라."
마룬카라고 불리는 이 제자는 오늘날의 말로 하면 철학 청년이라고나 할까, 이 세계는 유한한가? 무한한가? 인간이 죽어서 존재하는가, 안하는가, 또 영혼과 육체는 동일한가 동일하지 않은가, 당시에 유행하던 이런 문제를 논하기 좋아하는 사람이었다. 그러나 붓다는 전혀 그런 문제에 대하여 언급하려고 하지 않았으므로 그는 그것을 불만스럽게 여기고 있었다. 이 젊은 이가 어느날 붓다를 찾아와 그 불만을 털어 놓았을 때 그에게 '화살의 비유'를들어 친절하게 설명한 다음 , 마자막에 가서 힘을 주어 한 말씀이 이것이었다. 거기에서 붓다는 "내가 설하지 않은 것은 설하지 않은 채 수지하라." "또 내가 설한 것은 설한대로 수지하라."고 하여 매우 힘 있게 끊어서 말하고 있거니와, 그러면 대체 붓다가 설한 것은 어떤 내용이었던가? 그것은 바로 '네가지 성제'였다고 붓다 자신이 명백하게 말하고 있다.
이와 같이 '네 가지 성제'는 붓다의 가르침의 중심 골격을 이루는 것이었다. 이 사실은 다섯 비구를 상대로 설해진 이후 그 생애를 통해 전혀 변함이 없었다. 그러면 그것은 어떤 내용이었던가? 지금은 그 사람을 말하는 것이 중심 문제요, 그 사상을 설명하는 것은 주제가 아니나 먼저 얼마라도 그것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 다면 최초의 설법 소식은 완전히 그 안목을 잃고 말지도 모른다.
'네가지 성제'는 흔히 줄여서 '사성제' 또는 '사제'라고 일컬어진다.
'제'는 sacca 혹은 satua의 역어로 '진리'를 뜻하는 말이거니와, 그것은 아울러 '엄숙한 단언'을 뜻하기도 한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오히려 '엄숙하게 진리를 말씀하신 단언적 명제'라고 받아 들이는 편이 그 뜻에 더 가까울 것으로 생각된다. 붓다는 아마도 그 생애를 통해 이것을 숱하게 되풀이 해서 설했으려니와 이제 여러 경에 나타나는 바를 검토할 때 가장 간명한 형식은 앞서 인용한 마룬카에게 설명해 주던 그 양식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는 苦이다."
"이는 고의 발생이다."
"이는 고의 滅盡이다."
이는 고의 滅盡에 이르는 길이다."
'如來所說'이라고 불리는 첫 설법에서는 이것이 더 상세하게 나온다. 아마도 처음으로 내세우는 것인지라 자세한 설명이 필요했던 것 같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고의 성제이다. 마땅히 들어라. 生은 고이다.
老는 고이다. 병은 고이다. 시름 ,근심, 슬픔, 불행, 번민은 고이다.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는 것은 고이다. 욕심 나는 것을 얻지
못함은 고이다. 미워하는 사람을 만나는 것은 고이다. 욕심나는
것을 얻지 못함은 고이다. 뭉뚱그려 말한다면 이 인생의 양상은
고 아닌 것이 없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고의 발생의 성제이다. 마땅히 들어라. 후유
(후유; 과보)를 일어나게 하고 기쁨과 탐심을 수반하여 모든 것에
집착하는 갈애(갈애; 욕망에 빠지는 것)가 그것이다. 그것에는
욕애(慾愛; 탐내는 생각을 일으켜 무엇을 욕구하는 것,주로 성욕)
와 유애(有愛;개체를 존속시키고자 하는 욕망)와 무유애(무유애;
명예,권세에 대한 욕망)가 있느니라."
"비구들이여, 이것이 고의 멸진의 성제이다. 마땅히 들어라. 이
갈애를 남김없이 멸하고 떠나고, 벗어나 아무 집착도 없게
되기에 이르는 것이 그것이니라."
"비구들이여, 이것이 고의 멸진에 이르는 길의 성제다. 마땅히
들어라. 성스러운 팔지(八支)의 道가 그것이니, 정견(정견),정사(正思),
정어(正語)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정정(正定)이니라"
여기에서 "마땅히 들어라"이하의 설명을 빼어 버리고 그 항목만을 열거하면 이렇게 된다.
이야기옮기기-13회 (0) | 2009.03.11 |
---|---|
이야기옮기기12회(09.3.10) (0) | 2009.03.10 |
이야기옮기기 10회 (0) | 2009.03.08 |
이야기옮기기 9회 (0) | 2009.03.07 |
이야기옮기기 8회(09.3.6) (0) | 2009.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