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전위원장님, 울산에 NCC노조라는 데가 어딨는 노조인기요? 이것 보소, NCC노조가 민주노총 탈퇴를 선언했다고 신문에 대문짝만하게 나왔다 아인기요.”
“아~ 예, NCC노조는 민주노총 화학섬유연맹 사업장인데, 조합원 35명이라고 합디다.”
“머라꼬요, 화섬연맹, 35명? 35명 조합원이 민주노총 탈퇴한다는데 이 신문에 와 이래 대문짝만하게 나왔능기요? 참, X팔.”
들머리에 인용한 문답은 전국현장노동자회회 박유기 의장이 인터넷(http://nodong.nodong.net)에 올린 글이다. 여기서 조합원이 들이민 신문은 어떤 걸까? 여러 신문이 앞 다퉈 보도했다. 크게 보도한 신문은 <동아일보>다. <동아일보>는 종합면(2009년 3월20일 4면) 통단제목으로 전면에 걸쳐 “정치파업-잇단 비리에 신물… 노동운동 ‘제3의 길’ 모색 ” 제하에 민주노총의 위기를 다루며 다음과 같이 썼다.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으로 양분된 국내 노동계의 판도가 뿌리째 흔들리고 있다. 18일 울산의 폐기물 처리업체인 NCC의 민주노총 탈퇴에 이어 19일에는 민주노총 산하 화학섬유노조 영진약품지회가 민주노총에 공문을 보내 탈퇴를 공식 통보했다. 영진약품 홍승고 지회장은 “노동현장의 어려운 사정은 모르고 원칙과 지침만 내세우는 민주노총과 더는 함께할 수 없다”고 말했다. 서울지하철 등 공기업과 공무원 노조를 중심으로 새로운 노동조합총연맹(제3노총)이 세워지면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소속 노조의 이탈 움직임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제3노총은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을 모두 거부한다. 민주노총이 지나치게 정치에 참여하고 과격한 투쟁, 비타협, 계파싸움 등을 일삼는 게 실제 근로자에게 필요한 노동운동은 아니라는 것이다.”
어떤가. 명백히 노동운동의 분열을 부추기는 기사다. 취재기자가 의도했든 아니든 그렇다. <동아일보>의 그 기사를 읽는 독자들에게 민주노총 탈퇴가 잇따르고 있다는 ‘판단’을 주기 십상이다. 기실 그 뿐이 아니다. 부자신문들의 ‘민주노총 죽이기’는 집요하다.
박 의장은 “신문이나 방송에서 대대적으로 떠벌리는 ‘줄줄이 탈퇴’의 사례는 영진약품, NCC노조가 전부”라고 증언한다. 인천지하철은 탈퇴를 추진했으나 총회에서 부결되었고, 이른바 ‘뉴라이트’가 고 권용목을 내세워 대대적으로 ‘홍보’에 나선 ‘민주노총 충격보고서’에 담긴 각종 비리 사건 또한 이미 모두 보도된 사실들이다.
그럼에도 왜 한나라당정권, 전경련으로 상징되는 재벌, 언론권력은 살천스레 ‘민주노총 죽이기’에 나설 걸까? 박 의장은 민주노총이 빌미를 준 것은 사실이지만 더 중요한 지점이 있다며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이명박 정권의 이러한 친자본, 친재벌 정책의 입법과정에서 가장 걸림돌은 누구일까? 야당? 천만에 말씀이다. 직접적인 피해 당사자인 노동자들이 강력한 저항을 전사회적으로 벌이는 것일 것이다. 조직되지 못한 노동자들에 앞서 조직된 노동자가 최소한의 단결된 힘을 발휘하는 것 말이다. 민주노총은 우리가 마음에 들든 들지 않든 이렇게 조직노동자들의 분명한 상징인 셈이다. 따라서 저들이 민주노총을 개떼처럼 달려들어 물어뜯는 것은 당연한 임무(?)이다.”
그렇다. 민주노총 죽이기에 무심코 따라가는 사람들이 꼭 짚어야 할 대목이다. 앞선 칼럼(‘무심한 여자’ 300만 명의 궐기?)에서 썼듯이, 프랑스 사라코지 정권의 부익부빈익빈 신자유주의 정책을 저지할 가장 효과적 방법이 조직화된 노동자의 총파업이라는 사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 문제는 간명하다. 한나라당 정권-재벌-언론권력(한재언)의 집요한 민주노총 죽이기는 저들이 바로 그만큼 민주노총의 중요성을 꿰뚫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촛불을 든 시민들에게 민주노총은 무엇일까? 가랑비에 옷 젖듯이 저들의 민주노총 죽이기에 동조하는 사람들은 혹 없을까?
물론, 민주노총을 무비판적으로 옹호하자는 뜻은 결코 아니다. 다만 침소봉대에는 단호히 고개 저어야 옳다. 더구나 민주노총은 집행부 총사퇴와 선거로 거듭나기에 들어가 있다. 민주노총에 시민사회, 특히 촛불시민의 다사로운 눈길이 절실한 오늘이다.
“아~ 예, NCC노조는 민주노총 화학섬유연맹 사업장인데, 조합원 35명이라고 합디다.”
“머라꼬요, 화섬연맹, 35명? 35명 조합원이 민주노총 탈퇴한다는데 이 신문에 와 이래 대문짝만하게 나왔능기요? 참, X팔.”
들머리에 인용한 문답은 전국현장노동자회회 박유기 의장이 인터넷(http://nodong.nodong.net)에 올린 글이다. 여기서 조합원이 들이민 신문은 어떤 걸까? 여러 신문이 앞 다퉈 보도했다. 크게 보도한 신문은 <동아일보>다. <동아일보>는 종합면(2009년 3월20일 4면) 통단제목으로 전면에 걸쳐 “정치파업-잇단 비리에 신물… 노동운동 ‘제3의 길’ 모색 ” 제하에 민주노총의 위기를 다루며 다음과 같이 썼다.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으로 양분된 국내 노동계의 판도가 뿌리째 흔들리고 있다. 18일 울산의 폐기물 처리업체인 NCC의 민주노총 탈퇴에 이어 19일에는 민주노총 산하 화학섬유노조 영진약품지회가 민주노총에 공문을 보내 탈퇴를 공식 통보했다. 영진약품 홍승고 지회장은 “노동현장의 어려운 사정은 모르고 원칙과 지침만 내세우는 민주노총과 더는 함께할 수 없다”고 말했다. 서울지하철 등 공기업과 공무원 노조를 중심으로 새로운 노동조합총연맹(제3노총)이 세워지면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소속 노조의 이탈 움직임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제3노총은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을 모두 거부한다. 민주노총이 지나치게 정치에 참여하고 과격한 투쟁, 비타협, 계파싸움 등을 일삼는 게 실제 근로자에게 필요한 노동운동은 아니라는 것이다.”
어떤가. 명백히 노동운동의 분열을 부추기는 기사다. 취재기자가 의도했든 아니든 그렇다. <동아일보>의 그 기사를 읽는 독자들에게 민주노총 탈퇴가 잇따르고 있다는 ‘판단’을 주기 십상이다. 기실 그 뿐이 아니다. 부자신문들의 ‘민주노총 죽이기’는 집요하다.
박 의장은 “신문이나 방송에서 대대적으로 떠벌리는 ‘줄줄이 탈퇴’의 사례는 영진약품, NCC노조가 전부”라고 증언한다. 인천지하철은 탈퇴를 추진했으나 총회에서 부결되었고, 이른바 ‘뉴라이트’가 고 권용목을 내세워 대대적으로 ‘홍보’에 나선 ‘민주노총 충격보고서’에 담긴 각종 비리 사건 또한 이미 모두 보도된 사실들이다.
그럼에도 왜 한나라당정권, 전경련으로 상징되는 재벌, 언론권력은 살천스레 ‘민주노총 죽이기’에 나설 걸까? 박 의장은 민주노총이 빌미를 준 것은 사실이지만 더 중요한 지점이 있다며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이명박 정권의 이러한 친자본, 친재벌 정책의 입법과정에서 가장 걸림돌은 누구일까? 야당? 천만에 말씀이다. 직접적인 피해 당사자인 노동자들이 강력한 저항을 전사회적으로 벌이는 것일 것이다. 조직되지 못한 노동자들에 앞서 조직된 노동자가 최소한의 단결된 힘을 발휘하는 것 말이다. 민주노총은 우리가 마음에 들든 들지 않든 이렇게 조직노동자들의 분명한 상징인 셈이다. 따라서 저들이 민주노총을 개떼처럼 달려들어 물어뜯는 것은 당연한 임무(?)이다.”
그렇다. 민주노총 죽이기에 무심코 따라가는 사람들이 꼭 짚어야 할 대목이다. 앞선 칼럼(‘무심한 여자’ 300만 명의 궐기?)에서 썼듯이, 프랑스 사라코지 정권의 부익부빈익빈 신자유주의 정책을 저지할 가장 효과적 방법이 조직화된 노동자의 총파업이라는 사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 문제는 간명하다. 한나라당 정권-재벌-언론권력(한재언)의 집요한 민주노총 죽이기는 저들이 바로 그만큼 민주노총의 중요성을 꿰뚫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촛불을 든 시민들에게 민주노총은 무엇일까? 가랑비에 옷 젖듯이 저들의 민주노총 죽이기에 동조하는 사람들은 혹 없을까?
물론, 민주노총을 무비판적으로 옹호하자는 뜻은 결코 아니다. 다만 침소봉대에는 단호히 고개 저어야 옳다. 더구나 민주노총은 집행부 총사퇴와 선거로 거듭나기에 들어가 있다. 민주노총에 시민사회, 특히 촛불시민의 다사로운 눈길이 절실한 오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