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9회-초기불교의 인간관-상온

본문

나는 누구인가- 상온(인식)

오온:부처님의 해답  나-해체-고정불변한 나는 없다.즉 오온무아

반야심경 ; 조견오온개공도일체고액(핵심)[오온이 모두 공한 것을 비추어보니 온갖 괴로움과 재앙을 뛰어 넘었으니라]  오온=공=무아  초기불교의 사상 =  반야심경의 사상

반야심경은 직관-  초기불교는 직관이 아니라 해체해서 보면 무아

 

인간의 심리구조   : 정서적 토대-느낌으로 (탐욕,성냄,자애,연민,불탐,부진의 심리  

                                현상-""의 심리현상들 로 발전 )    

                          *아비달마; 법에 대한 연구라는 뜻으로 경전을 해석하거나 주석한 논장 

                   

                         :  지적 인 토대-생각 고찰,지혜 무명(인식의 토대)  행온에 속함

 

   오늘의 주제: 상온(지적토대-철학 사상이념)

                      인식은 대상이 무엇이라 아는 것,-수와 상을 구별

 

                     1,버려야할 인식: 수타니파타4,5장-희론(세간의 헛된 말장난)하는 인식

                                             네가지 전도된 인식; 常 樂 我 淨(상전도) 유위법;상-부상,-괴로움

                                                                         -  무아 ,-부정 금강경(사상-존재론적 으로

                                                                          동의어,자아)

 

                     2,닦아야할 인식: 아비달마에 의하면 인식은 마음과 항상 함께 일어나는 심리현상

                                            앙굿따라니까야-빨리어 경장 5부중 하나로 대승불교의 중일아함경 

 

                                            1.부정(不淨)이라고 관찰하는 지혜에서 생긴 인식(상전도-정)

                                            2.죽음에 대한 인식

                                            3.음식에 혐오하는 인식

                                            4.온 세상에 대해 기쁨이 없다는 인식(세상일에 연연)(상전도-락)

                                            5.오온에 대해서 무상이라고 관찰하는 인식(상전도-상)

                                            6.무상한 오온에 대해서 괴로움이라고 관찰하는 인식

                                            7.괴로움인 오온에 대해서 무아라고 관찰하는 인식(상전도-아)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