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8회 초기불교의 인간관-수온

본문

나는 누구인가-오온

 

물질(무더기):수온(느낌의 무더기)

불교의 존재론,인간관=인간이란?-오온(5가지)-해체-무아

 

*온(khandha)=무더기

 

受온(vedana) -느낌; 정서적 토대(감정적)-feelling

                            ①  낙(樂)수, ②고(苦)수, ③不苦不樂受(느낌의 3가지 )

                           *느낌은 예술의 단초가 됨(귀로 오는 느낌을 만족-음악,

                              눈으로 오는 느낌을 만족-미술 코-향수,혀-향신료개발,

                              몸-의복, 촉감을 만족)

 

想온(sanna)-인식; 지적인토대(지적반응)=수온 상온은 동시에 일어남-행에포함

                           =아비달마(心所法)

                            심소법;마음에 나타나는 46가지 작용

                            조계종(소의경전-금강경)의 주제=相=想(원어가 같다.

                             구마라습의 번역)

                            고정관념,이념을 중시- 想을 타파

                            철학, 사상,이념

 

* 느낌(수온)-낙수, 고수 ,불고불낙( 상윳다니까야 36) 초선 2선 3선-느낌이

   남아있으나   제4선(불고부낙,捨(사).念,一心의 4가지로 이루어진다)

* 느낌은 조건 지어 있다.(몸); 대상 상태, 환경에 따라 변함===무상

*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화살에 꿰찔리고 연이어 두번째 화살에

   또다시  꿰찔리는 것과 같다"

    -→두번째화살에 맞지밀라--팔정도

* "그래서 그 사람은 두 화살 때문에 오는 괴로움을 모두 다 겪을 것이다."

 ----괴고성(壞苦性;아무리 큰 행복일지라도 끝내 변하고 말기에 괴로움이다)-무상

  -연연하지말라-해탈,열반-       진정한행복을 실현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