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누각

불교란 무엇인가요/사찰의 아름다움

by 자수향 2009. 3. 18. 12:38

본문

                                                           누각은 어떤 쓰임새로 가람 앞에 서있는 것일까?

                              고려시대는 평지에 사찰이 있으므로 대웅전 뒤 편에 보편적으로 법회장소가 지워진 것을 보면

                              조선시대 숭유억불로 인해 사찰이 산 속으로 들어 가면서 산의 지형에 맞게 건축되다 보니

                              대웅전 앞의 지형이 가파르는 형상을 보이므로 집회 장소로 산이 내준 자리에 누각이 만들어 졌다고 할 수 있다.

                              누각은 가람 가운데 법이 머무는 자리이다.

 

    

 

  

은해사

 

  

 보화루

 

부석사 범종루

 

운부암 보화루

 

선암사 강선루

 

신흥사 보세루

 

봉정사 운부암 보화(만세)루

 

은해사 백흥암보세루

  

 

누각의 기능;  대웅전 앞에 둠으로 법회 장소로 의 기능,법고나 종루의 기능

                   자연의 흐름이 그대로 투영된 공간

                   법회장소는 아니더라도 사찰 근처에 둠으로  자연풍광을 감상

                   

 

                   

  

                  

 

안과 밖을 나누지 않은 소통의 공간 ,가람을 열어 자연과 법음이 교차 경계에 있는 누각

이 곳에서 부처님의 법음을 만난 이가 얼마나 많았을 까? 

 

누각의 형태 ; 마음의 자로 지은 가장 한국적인 집, 동양 수리관(태극음양오행)의 이치를 담은 집

특이한 점은 누각의 이름이 불교적 언어로 쓰여지지 않았다. 그것은 왜일까? 그것은 사찰

                                                   안 팎의 모든 문화를 꺼리지 않고 수용과 조화를 이루는 우리 불교적 정서가 아닐까.

  

 

'불교란 무엇인가요 > 사찰의 아름다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등  (0) 2009.03.23
한국의종  (0) 2009.03.21
석가모니불  (0) 2009.03.14
꽃살문의 세계  (0) 2009.03.13
세상의 중심을 선언 "탑"  (0) 2009.03.13

관련글 더보기